소개하기
uEngine6 BPM 개요
유엔진은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(BPM) 기반으로 아키텍처 분석부터 운영 자동화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는 플랫폼이며,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성숙도 모델(SOA-MM) 기준 최고 등급(Level 7)을 충족합니다.
uEngine6 BPM은 최신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(BPMS)입니다. 특히 ‘Process GPT’라는 AI 기능을 통해 프로세스 정의, 폼 생성, 애플리케이션 연동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. 이 AI 기능을 활용하면 복잡한 프로세스도 사용자 개입 없이 정의부터 실행까지 전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
본 제품은 EDA(이벤트 기반 아키텍처)를 활용하여 서비스 간 의존성을 최소화하고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동기화함으로써, 장애가 전파되지 않도록 관리합니다. 또한 시스템 연동 시 자동 재시도(retry), 보상 처리(compensation), 타임아웃 등을 모델링 단계에서 지원합니다. 이를 통해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복잡하게 여겨지는 트랜잭션 처리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.
대규모 언어 모델(LLM) 기반 AI 기술을 통해 프로세스 모델링과 폼 생성을 자연어만으로 자동화할 수 있어, 시스템 통합 등 다양한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효과적으로 지원합니다. 이렇게 높은 자동화 역량을 갖춘 uEngine6 BPM은 기업이 클라우드 네이티브 및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로 전환하는 데 이상적인 솔루션입니다.
주요 기능및 특징
-
BPMN 2.0 지원
- uEngine6는 OMG의 BPMN 2.0 표준을 완벽하게 준수하며, OCE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는 REST API 기반 마이크로서비스들을 효율적으로 통합 할 수 있는 프로세스 오케스트레이션 기능을 제공합니다. 또한 BPMN만으로 간단한 프로세스 기반의 REST 마이크로서비스를 직접 생성하는 것도 가능합니다.
-
멀티인스턴스 지원
- 서브 프로세스를 활용한 멀티 인스턴스(MI) 처리: 멀티 인스턴스란 프로세스 실행 중에 특정 단계의 인스턴스 개수가 동적으로 결정되는 복잡한 실행 패턴을 말합니다. uEngine6는 SubProcess 기능을 통해 멀티 인스턴스 구간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. SubProcess 설정에서 멀티 인스턴스를 발생시키는 배열 변수를 지정하면, 그 변수에 담긴 값의 개수만큼 해당 SubProcess를 병렬 또는 반복(loop) 실행하여 여러 인스턴스를 동적으로 생성합니다.
-
복잡한 분기 처리
- 게이트웨이에 의한 조건 분기: 프로세스 흐름 상에서 게이트웨이(Gateway)를 사용하여 조건부 분기를 모델링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간단한 변수 비교부터 AND/OR 조합의 복잡한 조건까지 규칙을 정의하여 다양한 경로로 프로세스를 분기할 수 있습니다.
-
폼 매핑 기능
- 폼 매핑(Data Mapper): 프로세스 실행 중에 외부 도구(예: 레거시 시스템)와 데이터 연계를 지원하는 설정 도구입니다. 서로 다른 스키마 간에 데이터를 매핑하고 변환(트랜스포메이션)하여 활동(액티비티) 사이에 주고받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
다양한 시스템 연동 지원
- BPM과 시스템 연동을 다양한 방법으로 지원합니다. Message Broker, Message Event Notation, REST API를 지원합니다.
-
통합 및 확장성
- 외부에서 마이크로 서비스들을 접근하는 경로에 대한 보안, 통합, 성능에 대한 제어를 할 수 있습니다. 새로운 비즈니스 요건에 필요한 API 를 기존 마이크로 서비스 자산들의 매시업을 통하여 생성할 수 도 있습니다.
-
프로세스 시뮬레이션, 디버깅 및 실행
- 프로세스를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프로덕션에 배포 이전에 테스트를 진행 할 수 있습니다. 또한 호출한 payload 값을 통해서 프로세스 실행 시 호출되는 파라미터를 테스트 할 수 있습니다. 업무의 오류가 발생시 오류지점에서 재시작, 이전단계 복구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.
-
업무 분배 기능
- 프로세스 실행중에 설정한 역할자에 따라서 업무를 해당 역할자에게 자동 생성할 수 있습니다.
시스템 유형별 특징 비교
항목 | BPM 기반 시스템 | PMS | 하이브리드 시스템(uEngine6) |
---|---|---|---|
도구 연동 방식 | • 정적 연동 • BPMN 정의 시 ERP/RPA 등의 도구를 사전에 지정 • 연동 시 이벤트 드리븐 아키텍처 고려 필요 (루즈 커플링 유지 필수) • 연동 시 설계 복잡성 존재 |
• 없음 • 사용자가 각자 도구를 선택하여 수동으로 사용 |
• 동적, 문맥 기반 연동 • 사용자의 업무 대화 맥락을 LLM이 실시간 분석 • 필요한 도구(ERP, CRM, 자동화 스크립트 등)를 MCP 기반으로 자동 탐지 및 호출 • 업무 흐름에 맞춰 도구가 '리액트' 방식으로 반응 |
연동 유연성 | • 중간 • BPM 설계자 역량과 시스템 구성에 따라 달림 |
• 없음 | • 매우 높음 • LLM + MCP + BPM 구조로 실시간 제안 및 호출 가능 |
애플리케이션 간섭 문제 | • 주의 필요(BPM과 외부 시스템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루즈 커플링 설계 필요) | • 없음 | • uEngine6 BPM은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채택 • BPM과 애플리케이션 간 간섭 최소화 구조 제공 |
기술 기반 | • BPMN • API 연동 • 이벤트 브로커(RabbitMQ, Kafka 등) |
• 없음 | • BPMN • LLM • MCP • 이벤트 드리븐 시스템 • Chat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|
사용자 경험 | • 고정된 연동 흐름 • 업무 변경 시 BPM 수정 필요 |
• 유연하지만 통합성 부족 | • 자연어로 필요한 도구를 '언급만 하면' 자동 연동됨 예시: "이번 영업기회 등록해야겠네" → CRM 오픈됨 |
버전 호환성
-
uEngine6 BPM은 해당 버전이 권장되고 지원됩니다.
- JAVA8 버전
- Apache Maven 3.6.1 버전
- Spring Boot 2.3.1.RELEASE 버전
-
uEngine6 Frontend은 해당 버전이 권장되고 지원됩니다.
- NodeJS 16 버전 이상 사용